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은 고혈압 환자이지만 환자 중 31%는 자신이 고혈압 환자라고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고혈압을 조절하지 못하면 심장, 뇌, 신장 등에 합병증을 유발될 수 있어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관리하는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고혈압 전단계 증상과 고혈압 수치, 관리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혈압을 적절히 관리하면 합병증 발생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고혈압이란?
혈압이 지속해서 높은 상태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 수축기 혈압 :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심장 밖 혈관으로 밀어 낼때의 압력
- 이완기 혈압 : 심장이 확장할 때 혈관에서 유지되는 압력
수축기 혈압은 139mmHg 이하 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1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 전단계로 보고있습니다.
고혈압 증상 및 합병증
고혈압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아서 혈압을 직접 측정하기 전까지는 본인의 혈압이 높은지 인지를 못한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처음 며칠이나 몇 달 동안은 문제가 없지만 치료를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5~10년 이상 지나면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합병증은 [증상이 보이지 않는 장기 손상(무증상 장기 손상)]과 [증상이 보이는 심뇌혈관질환 및 콩팥질환]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증상이 보이지 않는 장기 손상은 합병증 전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증상이 없는 합병증 전단계에서는 고혈압을 철저하게 관리하면 정상적인 상태로 좋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심뇌혈관질환이나 콩팥질환의 증상이 나타나는 고혈압 합병증 단계에 고혈압 치료와 함께 해당 합병증을 전문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혈압을 측정하고 기본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추가로 정밀 검사를 진행하여 합병증을 찾아 낼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 관리에 도움 주는 생활 습관
□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 음식은 골고루 싱겁게 먹기
□ 술은 줄이고 담배는 끊기로 노력하기
□ 살이 찌지 않도록 알맞은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매일 30분 이상 운동하기
□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 유지하기
□ 염분이 많은 음식과 자몽 섭취 주의하기
고혈압약 복용방법
□ 고혈압약은 정해진 시간에 맞춰서 복용하기
□ 약 먹는 것을 깜빡하면 생각난 즉시 복용하고, 다음 복용시간이 가까우면 기다렸다가 복용하기
□ 고혈압 치료 시작 후 3~4개월 동안은 약의 효과와 부작용 확인을 위해 정기적으로 의사와 상담하기
□ 이뇨제 성분 고혈압약은 저녁에 복용하면 이뇨작용으로 수면을 방해할 수 있어 아침에 복용하기
국가건강검진 검진항목 알아보기
오늘은 국가건강검진 검진항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건강검진 ① 공통검사항목 일반건강검진 중 공통 검사항목으로는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시력, 청력, 혈압, 구강
1.amxuxxs.com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검진기관 찾기|안내사항 등 알아보기
오늘은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검진기관 찾는 방법과 건강검진 안내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건강검진 대상자는? ① 지역가입자 : 세대주와 20세이상 세대원 중 홀수연
1.amxuxx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