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대상포진의 초기증상과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저하되기 쉬운데 이럴 때는 감기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합니다.
그중 대상포진은 일교차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되기 쉬운 환절기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50대 이후에는 대상포진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특히 조심해야합니다.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신체의 세포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활성화되면서 통증과 함께 발진과 수포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면역력이 떨어진 50세 이상의 성인에게 발병하지만 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 환자 또는 장기이식이나 항암치료를 받아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이 경우에는 젊은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은?
대상포진은 잠복상태로 있떤 수두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면서 발생하며 통증이나 감각 이상이 수일간 지속되다가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가 발생합니다.
그 뒤로 수포는 10~14일 동안 변화하는데 고름이 차면서 탁해지다가 딱지가 생기고 아물게 됩니다.
드물게 피부 발진 없이 통증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나 나이가 많을 수록 더 심한 경향을 보이며 일부에서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해야 할 정도로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 시기별 증상 및 치료방법 >
① 초기 (4~5일) 감기로 오해하기 쉬움
□ 감기몸살과 비슷한 증상으로 두통, 발열, 전신쇠약감, 식욕부진
□ 몸 한쪽에 심한 통증 및 감각이상
② 진행(2주~3주) 피부병으로 오해하기 쉬움
□ 띠모양의 붉은 발진과 물집
□ 발진 및 물집 부위에 날카로운 통증 동반
③ 합병증(수주~수개월)
□ 이상감각, 불면증 및 우울증
□ 뇌막염, 안면신경마비, 실명, 청력 손상 발생 가능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한다고 해서 100%로 예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방 접종을 했을 때 대상포진 발생은 50%, 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은 약 60%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① 접종대상 및 접종시기
50세 이상 성인 1회 접종
② 대상포진을 앓은 후 대상포진 백신 접종의 적절한 시기
□ 약독화 생바이러스 백신의 경우 회복 후 최소 6~12개월이 경과한 후 접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대상포진 재조합백신의 경우 명시된 기간은 없지만 급성기증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접종하지 않습니다.
③ 예방접종 비용
최소 10만원에서 ~ 최대 18만원 정도
댓글